반응형
국민연금 개혁 확정! 보험료 더 내고 연금 더 받는다 – 18년 만의 변화
국민연금 개혁, 어떻게 달라지나?
국민연금 보험료율이 현행 9%에서 13%까지 단계적으로 인상되고, 연금 수령액을 결정하는 소득대체율도 40%에서 43%로 상향됩니다.
이번 개혁은 18년 만의 연금제도 개편으로, 내년부터 매년 0.5% p씩 8년 동안 보험료율이 오르게 됩니다.
보험료율과 연금 수령액, 얼마나 달라질까?
보험료 인상
- 현행 9% → 13% (8년 동안 연차별 0.5%p씩 인상)
- 월 평균 소득 309만 원인 가입자의 경우, 보험료 27.8만 원 → 29.3만 원으로 증가
- 사업장 가입자는 기업이 절반 부담, 본인 부담액은 매달 7,500원 증가
연금 수령액 증가
- 소득대체율 40% → 43% (2026년부터 적용)
- 평균 소득 가입자가 40년 가입 후 25년간 연금 수령 시, 연금액 2,200만 원 증가
국민연금 지급 보장 명문화
국민연금 지급 보장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법 개정안에는 “국가는 연금급여 지급을 보장하고, 필요한 시책을 수립·시행한다”는 조항이 추가되었습니다.
이로써 국민연금이 안정적으로 지급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습니다.
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점, 15년 늦춰진다
이번 개혁으로 인해 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점이 기존 2056년에서 2071년으로 15년 연장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특히 기금투자수익률 목표를 4.5%에서 5.5%로 상향할 경우, 기금 소진 시점이 더욱 늦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
추가 개편 사항 – 출산·군 복무 크레딧 확대
출산 크레딧
- 기존: 둘째 자녀부터 12개월 인정
- 개정: 첫째 자녀부터 12개월 인정
군 복무 크레딧
- 기존: 최대 6개월 인정
- 개정: 최대 12개월 인정
국민연금 개혁, 기대 효과는?
- 연금 재정 안정화 – 기금 소진 시점이 2071년으로 연장
- 국민 부담 완화 – 출산·군 복무 크레딧 확대
- 소득대체율 증가 – 은퇴 후 연금 수령액 증가
- 국가 지급 보장 – 연금 지급의 법적 안정성 확보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YD, 5분 충전 전기차 출시- 테슬라도 긴장 (0) | 2025.03.23 |
---|---|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및 사용처 총정리 (0) | 2025.03.22 |
LH, 지방 미분양 아파트 3,000호 직접 매입!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 (0) | 2025.03.20 |
개발제한구역 태양광 설치- 25일부터 신고만으로 가능 (0) | 2025.03.20 |
자동차보험 비교·추천 2.0 출시! 보험료 비교가 더 쉬워집니다 (0) | 2025.03.20 |